티스토리 뷰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명지대학교 문창과
문예창작과 소수정예 레슨 창작공방입니다.
문예창작 입시를 위한 전문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명지대학교 문예창작과를 포함해서 전국 문창과 개설대학들은
선발기준이 다릅니다.
명지대학교는
수능40% + 실기60% 의 비중으로 전형이 이뤄져있습니다.
- 수능우수자 전형
- 실기우수자 전형
실기로 16명을 선발합니다. 수능으로 6명을 선발하는 것과
비교하면 실기비중이 높은 대학입니다.
*기출해석
명지대학교 문예창작과는 실기시험에서
두 가지 제시어를 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2017년도 출제 제시어 한번 살펴볼까요.
스파링 / 거인 중 택1하여 쓰시오
라는 제시어로 출제가 됐습니다.
a. 스파링, 거인이라는 단어에 매몰되진 않은가
b. 특정한 스토리텔링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진 않은가
c. 배경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거인은 팔레스타인의 여러 원주민 중의 하나였던 '네피림'이라는
말로 불리기도 하는데 거인 종족입니다.
다소 부정적인 이미지의 논리를 지니고, 혼돈과 무질서를 만들어내는
그런 형태입니다.
거인의 이미지를 입힌 고전작품들이 꽤 생각납니다만, 가깝게는
유명한 일본의 애네메이션 '진격의 거인'이 이러한 모티브를 가져와
하나의 세계관을 입힌 작품입니다.
* 문제풀이
기본적인 거인(의 이미지) & 스파링(상대) 은 묘한 연계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어떤 것을 선택해도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될거라는
착각이 일어날만큼.
시험장에서는 고난을 이겨내는 형태의 이야기로 많이 나왔습니다.
아버지를 거인에 비유해서 서술하거나, (집단)강한 상대와 대칭점을
이루거나 하는 내용인데 어떤 평가들을 받았을까요.
합격을 위해서는 알레고리가 필요했던 제시어 입니다.
거인과 스파링에 대한 협소한 시각이 아니라, 은유적인 시각에서
제시문을 떠올릴 수 있는 전개가 필요했던 겁니다.
# 걸리버여행기 이미지
내가 거인이라면?
실제 거인이 등장해도 괜찮고, 그렇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창의적인 스토리를 써내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발상을 전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창의적인 건 어려운 것입니다. 그것도 시험장에서 짧은 시간동안 해낸다는 건
말이죠.
시선을 뒤틀어서 써내야만 출제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합격작과 자세한 전개과정은 카페 내에 업로드해놓은 상태입니다.
7년도 넘게 수업을 진행하면서 수많은 노하우를 쌓아왔습니다.
명지대 문예창작과 합격작들을 포함해서
80편 이상되는 합격작들을 포트폴리오로 만들어놓은 것은
꽤 의미있는 일중 하나였습니다.
입시가 원하는 패턴과 합격하기에 좋은 글들이 있습니다.
창작공방 수업일지 goo.gl/fLNmBj
수업자료 해석 goo.gl/ciucUS
※문예창작과 입시를 위한 Open Tip(링크 참조)
문예창작과 입시 칼럼 http://me2.do/FBdW6hqv
문예창작과 합격작품 http://me2.do/Ig8HomUV
작법(기초) http://me2.do/FE6bw4uK
작법(희곡) http://me2.do/GHIJm3zY
작법(드라마) http://me2.do/GPVZ6EzW
작법(시나리오) http://me2.do/G3bNaVe4
작년 입시결과입니다.
단국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중앙대학교, 동아방송대학교 등에 합격자를
냈습니다.
단 한차례 모의수업을 진행합니다.
'창작공방 > 문예창작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덕여자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동덕여대 문예창작과 (0) | 2017.07.01 |
---|---|
한신대 문예창작과 / 한신대 문창과 (0) | 2017.06.30 |
명지전문대 문예창작과 / 명지전문대학교 문창과 (0) | 2017.06.29 |
숭실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숭실대 문예창작학과 (0) | 2017.06.28 |
한양여대 문예창작과 / 한양여대 문창과 (0) | 2017.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