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명지대 문예창작과 / 명지대 문창과
문창과 실기를 위한 전문지도 창작공방입니다.
감각적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명지대학교 지난 2017년도 정시 입시요강입니다.
- 나군
- 실기 60% + 수능 40%
(국어 36% + 수학 18% + 영어 36% + 탐구 10% )(4.5등급)- 4.5등급
- 수능우수자 6명(실기x)(2~2.5등급) / 실기우수자 16명(3.5~4등급)
명지대 문예창작과 뿐만 아니라 실기전형의 경우 등급의 폭이 넓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실기를 '매우' 잘본다는 전제하에 그런 것이지,
실제로는
표기된 등급보다 한 등급 정도는 위 등급을 보유하고 있어야
안정적인 합격권입니다.
다만 문창과 특성상 정량평가를 하지 않습니다.
실기6 / 수능4 라고 하지만 실기의 실질적 반영비율이
훨씬 높다는 이야기며, 실기를 잘 보면 입학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실기 반영율이 높은 특정 문예창작과들의 경우
최저 7~8등급 으로 합격하는 경우들이 있으며,
창작공방 학생들 중에서도 필사적으로 실기에 매달려서 7등급대
학생들이 서울예대와 한양여대에 합격한 선례가 있습니다.
물론 실기가 최상급이어야 한다는 전제이니 쉽지만은 않습니다.
평소 등급관리에 힘써야합니다.
그럼 명지대학교 문예창작과 실기한 번 살펴볼까요.
제시어 - 라벤더향
2009년도 명지대학교 출제 제시어 였습니다. 명지대는 숭실대와 더불어
구성과 상상력에 제한을 두지 않는 대표적인 문창과 입니다.
그 만큼 결론을 내기 어렵기때문에 기승전결로 완성하지 못해 감정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 기승전결
b. 라벤더의 이미지 > 스토리텔링
c. 라벤더의 모티브(motive) vs 메타포(metaphor)
d. 해설(解說)이 아니라, 세계(世界)
e. 악의 평범성
운문으로 써내도 그럴듯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의 제시어입니다.
그만큼 상투적일 수 있는 소재기도 하고, 보편적으로 느낄법한
소재이기도 합니다.
출제의도는 한 편의 글이 끝났을 때, 라벤더향이 느껴지는 글입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인물이) 라벤더향을 느끼는 글을 쓰면 되겠어'
라는 식으로 접근할겁니다.
이건 입시입니다. 1년에 한두번 오는 기회를 발상없이 그냥 날려버린다면
마음고생이 심할겁니다.
한 편의 글에서 라벤더 향를 끌어내야합니다. 아무리 문장으로
'이건 라벤더향이야' 라고 해설해도 그건 의미없습니다.
높이는 30~90cm 이고, 쌍떡잎식물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햇빛을 잘 받고 습하지 않은 곳에서 잘 자란다 등등 아무리 유창하게
설명해도 라벤더향은 느껴지지 않을겁니다.
설명하려고 하지마세요.
출제자는 하나의 사건 속에서 자연스럽게 라벤더향을 느끼고 싶은 겁니다.
꽃말은 정절입니다. 이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이 모티브를 끌어와
글을 써내기도 했습니다. 좋은 결과를 받을 수 있었을까요.
악의 평범성에 대한 이야기로 예시를 한번 들어볼까요.
세계대전에서 히틀러와 마찬가지로 1급 전범이었던 아이히만이
법정에서 자신을 죄가 없다며 다음과 같이 변호합니다.
그의 변호사 한나아렌트를 깊은생각에 잠기게 만들면서 말이죠.
'나는 직장인이며, 가장이며, 친절한 이웃일 뿐이다' 라고.
라벤더향이 꼭 선한 것이며, 두통이나 신경안정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고, 정절을 지키는 상징이며, 해피엔딩을 가져와야하는
의무를 지닌소재가 아닙니다.
라벤더향이 좀더 강력한 메타포를 지닐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만
입시에서 좋은 결과가 나옵니다.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책 향수가 있습니다. 16학년도 학생 중에
모티브로 끌어다 쓰고, 서울예대에 합격하기도 했었는데요,
주인공이 최고의 향수를 만들기 위해
25차례나 살인을 저지르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그가 만들기 위한 향이 라벤더향 이었다면 어땠을까요.
라벤더향의 이미지가 아직도 조금 전의 아름답기만 한 이미지들인가요.
뻔한 창의성, 무모한 상상력, 작위적인 구성, 흥미없는 서스펜스.
시험장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일입니다. 너무 긴장해서 그런걸까요.
이것은 모두 뻔한 시작점에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조금만 패러다임을 바꿔보세요.
합불합은 시선의 문제일 뿐입니다.
입시 포트폴리오
전체 전개방식과 대학별 기출풀이는 카페 내에 따로
해두도록 하겠습니다.
7년 이상 수업하며 창작공방 합격생들의 합격작
80여편을 포트폴리오로 만들었습니다.
과정은 재미있게 하면 되지만, 한명의 학생마다 애정을 갖고
결과를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창작공방 수업일지 goo.gl/fLNmBj
수업자료 해석 goo.gl/ciucUS
※문예창작과 입시를 위한 Open Tip(링크 참조)
문예창작과 입시 칼럼 http://me2.do/FBdW6hqv
문예창작과 합격작품 http://me2.do/Ig8HomUV
작법(기초) http://me2.do/FE6bw4uK
작법(희곡) http://me2.do/GHIJm3zY
작법(드라마) http://me2.do/GPVZ6EzW
작법(시나리오) http://me2.do/G3bNaVe4
전년도 입시결과
작년 입시의 결과입니다.
한예종, 서울예대, 명지대, 중앙대, 단국대, 백석예대 등에
합격자를 냈습니다.
한 차례 무료 모의수업
한차례 모의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창작공방 > 문예창작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국대 문예창작과 실기 / 단국대 문창과 (0) | 2017.07.05 |
---|---|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 /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0) | 2017.07.04 |
사이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사이버대학 문예창작과 (0) | 2017.07.03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서울과학기술대 문예창작과 (0) | 2017.07.03 |
숭의여대 문예창작과 / 숭의여대 미디어문예창작과 (0) | 2017.07.01 |